
Rh 혈액형군은 사람 적혈구에서 가장 복잡한 혈액형 항원군으로, 이에 속하는 적혈구 항원으로는 D, C, c, E, e 항원을 비롯해 현재까지 55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1]. 적혈구 표면의 Rh 면역복합체는 RhD 1분자, RhCE 1분자 및 RhAG 2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RhD 단백 분자에는 Rh 혈액형군 항원 중 가장 면역원성이 강한 D 항원이 존재하고, RhCE 단백 분자에는 C, c, E, e 항원이 존재한다. 그런데
D-- 혈액형은 극도로 희귀하기 때문에 해당 혈액이 필요한 시점에 무작위로 일반 헌혈자의 혈액제제를 추출하여 혈액형 검사를 시행하는 것으로는 적시에 혈액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여러 선진혈액사업국가에서는 사전에 헌혈자에게 혈액형 선별검사를 시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D-- 형 헌혈자를 발굴하여 등록헌혈자로 관리함으로써 D-- 형 혈액을 확보하고 있다[3].
우리나라에서도 2004년 및 2017년 두 차례에 걸쳐 D-- 혈액형을 가진 환자에게 수혈이 필요한 사례가 발생하였으나 국내에서는 해당 혈액을 확보할 수 없어 일본적십자사로부터 D-- 혈액제제를 공급받아 수혈한 사례가 있으며, 또한 2015년에는 냉동 보관 중이던 자가 적혈구제제를 해동하여 수혈한 D-- 환자의 사례가 보고되었다[4]. 이러한 경험으로 인해 국내에서도 D-- 헌혈자를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등록헌혈자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5].
이에 따라 대한적십자사에서는 헌혈자에게 시행하는 Rh 혈액형 선별검사 대상을 C, c, E, e 항원 모두로 확대하였으며, 2018년 6월부터는 자동화장비를 사용한 선별검사에서 C, c, E, e 항원이 모두 음성(–)으로 나타날 경우 항혈청 시약을 사용하여 수기로 혈액형 확인검사를 실시해 C, c, E, e 항원의 표현형이 실제 음성인지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21년까지 총 18명의 헌혈자가 혈청학적 D-- 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를 등록헌혈자로 별도 관리하고 있다[5]. 이에 2020년 수혈이 필요한 D-- 혈액형의 림프종 환자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2004년 및 2017년과는 달리 국내의 D-- 등록헌혈자를 활용하여 적혈구 및 혈소판 제제를 공급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6].
그런데 이는 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D-- 혈액형임을 확인한 것으로, 유전학적 혈액형 검사는 시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해당 헌혈자들이 유전학적으로도
본 연구는 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생명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진행하였다(IRB no. 21-4차-정-6).
먼저
다음으로, 2021년까지 대한적십자사 혈액검사센터에서 PK7300 및 PK7400 자동 혈구응집 검사장비(Beckman Coulter, Brea, CA, USA)를 사용하여 시행한 Rh 혈액형 선별검사에서 C, c, E, e 항원 음성 결과를 보여, 항혈청 시약을 사용한 수기 확인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도 C, c, E, e 항원이 모두 음성으로 확인된 헌혈자 18명을 대상으로 자발적 의사에 따라 연구참여에 대해 동의를 구하고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였다. 그 결과 총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연구참여 동의서, 인체유래물 연구동의서 및 개인정보 제공 서식을 확보하고 EDTA tube에 정맥혈 검체를 채취하였다.
모집된 8명의 D-- 헌혈자 EDTA 정맥혈 검체에 대해 anti-D (SIHDIA, Shinyang Diagnostics, Seoul, Korea), anti-C, anti-c, anti-E, anti-e (이상 DIAGAST, Loos, France) 항혈청시약을 사용하여 표준 tube법으로 혈청학적 검사를 실시하고 실온, 37℃, anti-human globulin (AHG) 반응조건에서 응집 여부를 확인하였다.
2)DNA 추출SLA-D14800 (TANBead, Taoyuan, Taiwan) 장비와 TANBead Nucleic Acid Extraction Kit (TANBead, Tao-yuan, Taiwan)를 사용하여 희귀혈액 연구 EDTA 전혈 냉동 보관검체 20개와 D-- 헌혈자 8명의 EDTA 전혈검체에서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핵산의 농도 및 순도 검증에는 NanoDrop (Thermo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을 사용하였다.
3)본 연구에서는 타 연구자의 기존 보고에서 소개되었던 검사법[7]을 바탕으로 exon 5, 6, 8에 대한 second (nested) PCR을 추가하여
전기영동에서 각
국제수혈학회(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ISBT)에서 제공하는
D-- 연구참여자 8명에 대해 anti-D, anti-C, anti-c, anti-E, anti-e 항혈청 시약을 사용하여 표준 tube법으로 실온, 37℃ 및 AHG phase에서 응집반응을 확인한 결과 8명 모두 실온, 37℃, AHG 조건에서 D 항원은 강양성을 보이는 반면 C, c, E, e 항원은 응집반응 음성결과를 나타내어 혈청학적으로 D-- 형에 합당하였다.
PCR 증폭산물에 대한 전기영동에서 20개 검체 모두에서 엑손 1부터 엑손 10까지 모든 엑손의 증폭이 확인되었다.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전학적
D-- 연구참여자 8명에 대해 PCR-based microfluidic capillary electrophoresis 검사를 시행하여
PCR에서 증폭산물이 확인된 경우 Sanger sequencing을 진행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변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1번부터 10번까지 모든 엑손에서 증폭반응이 확인된 1, 3, 5, 7번 검체의 경우 염기서열 분석결과 엑손 및 인접 인트론 부위에서 D-- 혈액형이나
엑손 7에서
최종적인
D-- 혈액형은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매우 드문 빈도를 보이나, 나라마다 보고된 빈도에는 차이가 있다. Haplotype frequency가 스웨덴에서는 0.0005이나 민족적으로 연관된 나라인 아이슬란드에서는 0.0047이며, 일본에서는 0.0032라는 보고가 있었다[9]. 일본에서는 Okubo [10]가 1991년 헌혈자 692,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7명의 D-- 표현형 보유자가 확인되어 전체 헌혈자 중 0.00101%가 해당 혈액형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 대한적십자사에서 검사를 시행한 모든 헌혈자 876,92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혈청학적 자동화 장비로 선별검사를 시행한 결과 14명이 C, c, E, e 항원 음성 결과를 보였으며, 이들에 대해 수기로 혈청학적 확인검사를 시행한 결과 7명은 해당 항원을 약하게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적으로 7명의 D-- 보유자가 확인되었다[5]. 이는 전체 헌혈자 중 0.000798%의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일본에 비해 약 80% 수준에 해당한다.
RhCcEe 혈액형의 null phenotype을 유발하는 유전학적 변이에는 stop codon이 일찍 등장하는 nonsense mutation, 주형이 틀어지는 frameshift mutation, splicing에 영향을 주는 splice site variant,
구체적으로는 상기 4명 중 3명에 해당하는 4, 6, 8번 검체에서 엑손 3, 4, 6이
한편 2번 검체는 엑손 9에서 비정상적인 PCR 증폭반응을 보였고, 엑손 7 및 8에서
2, 4, 6, 8번 검체에서 발견된 모든 변이는 동형접합체(homozygote) 형태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일한 유형의 allele를 부모 양쪽으로부터 물려받은 결과일 수 있으나,
본 연구에 참여한 8명의 D-- 헌혈자 중 4명(1, 3, 5, 7번)에서는 일반적인 C, c, E, e 항원을 발현하는
본 연구의
한편
본 연구에서는 대한적십자사의 헌혈자 중 혈청학적 수기검사에서 D-- 표현형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된 헌혈자 18명 중 총 8명의 연구참여자를 모집하여
배경: 대한적십자사에서는 RhCE 항원에 대한 혈청학적 검사를 통해 총 18명의 D-- 헌혈자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헌혈자들을 대상으로
방법:
결과: 18명의 D-- 헌혈자 중 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PCR-based electrophoresis에서는 4, 6, 8번 검체의 exon 3, 4, 6이 증폭되지 않았고 2번 검체의 exon 9도 비정상적 band 양상을 나타내었다. 4, 6, 8번 검체는 exon 5, 7, 8의 염기서열이
결론: 총 8명의 D-- 연구참여자 중 4명에서 일부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