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Panel Cells for Unexpected Antibody Screening: Is It Economically Worth It?
용혈수혈반응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용 혈구를 늘리는 것은 경제적인가?
Korean J Blood Transfus 2023;34:36−38
Published online April 30, 2023;  https://doi.org/10.17945/kjbt.2023.34.1.36
© 2023 The Korean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Hyungsuk Kim, M.D.1, Dae-Hyun Ko, M.D.2
김형석1ㆍ고대현2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1,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2, Seoul, Korea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1,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2
Dae-Hyun Ko, M.D.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8 Olympic-ro,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4504, Fax: 82-2-478-0884, E-mail: daehyuni1118@amc.seoul.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9781-0928
Received January 6, 2023; Revised April 4, 2023; Accepted April 4, 2023.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The unexpected antibody screening tes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retransfusion tests. The tests are usually performed using commercial cells, which in Asia may not include clinically important antigens. To overcome this limitation, some laboratories use additional screening cells, including Dia or Mia. However, these efforts are not supported by the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The estimated total medical costs for using additional screening cells are less than the estimated total medical costs for the management of potential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caused by missing clinically important antibodies. Hence, it is recommended that the Health Insurance system should be modified to take this into account and address the issue.
Keywords : Unexpected antibody screening, Diego, Miltenberger,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Body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는 중대한 용혈수혈반응 및 치명적인 태아신생아용혈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기본적인 검사이다[1].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를 시행하고자 할 때 이미 알고 있는 항원 표현형의 조합으로 구성된 상품화된 혈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품화된 혈구는 대개 서구권의 나라를 대상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라 아시아 지역에서 중요한 항원을 포함하지 않거나 이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대표적으로 문제가 되는 항원은 Dia와 Mia이다. 특히 Dia 항원은 백인이나 흑인에서는 거의 양성인 사람이 없는 저빈도항원이나 한국인에서는 6.4∼14.5%에서 양성을 보인다[2]. Mia 항원도 백인과 흑인에서는 0.1%, 한국인에서는 0.9%로 비교적 드물게 발견되지만, 태국인은 9.72% 그리고 대만과 홍콩의 중국인에서는 각각 7.3%와 6.3%로 발견된 바 있다[3]. 항-Dia 항체는 용혈수혈반응과 태아신생아용혈성질환 모두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Mia 항체도 중증 이상의 태아신생아용혈성질환을 일으킨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4,5].

이렇게 임상적으로 주요한 항체를 검출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품화된 혈구를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2개만을 사용하는 데 더해 Dia 또는 Mia 항원을 포함한 혈구까지 포함하여 3종 혈구를 이용한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3,5-7]. 그러나 현재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는 상대가치점수 120.99점으로 한 가지로만 지정되어 있어 선별검사용 혈구를 몇 종류를 사용하더라도 단일한 가격으로만 검사 수가를 받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 시 혈구를 늘려서 검사하고자 할 때 개별 의료기관에서는 검사비용의 부담이 고려될 수밖에 없다.

임상적으로 주요한 항체를 검출하지 못하여 수혈이상반응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의료비용에 대해서 조사한 국내 연구는 아직 보고된 것이 없으나 유사한 해외 사례를 참고해볼 수 있겠다. 네덜란드에서 이루어진 한 연구에 따르면 급성용혈수혈반응 한 건당 발생하는 의료 비용은 €1,539, 지연성용혈수혈반응의 경우는 €1,027로 추산되었다[8]. 국내에서 Dia 또는 Mia 양성 혈구를 추가하여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를 시행한 경험을 발표했던 보고에 따르면, 항-Dia 의심항체는 0.08∼0.16%, 그리고 항-Mia 의심항체는 0.05∼0.27%의 환자에게서 발견할 수 있었다[3,6].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최대 0.27%의 환자에게 급성 또는 지연성용혈수혈반응을 예방하기 위해 Dia 또는 Mia 양성 혈구를 추가하여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를 시행하게 된다면, 1건의 선별 검사로 기대할 수 있는 비용의 평균은 €3.47로 계산해볼 수 있다(항체발견확률×[1539+1027]/2). 즉 Dia 또는 Mia 양성 혈구를 포함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 급여 코드를 만들고 그 비용을 기존 검사보다 약 4,668원 증가시킨 수준일 경우, 전체적으로 검사 비용의 상승이 향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의료 비용보다 적어 경제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경제성 분석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 중 하나는 교차시험이다.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 결과가 음성일 경우 실온식염수 단계의 교차시험만 시행하여 혈액을 수혈하는 것은 많은 나라에서 활용되고 있는 수혈 전략이며 국내 수혈가이드라인에도 이러한 내용이 반영되어 있다[9]. 그러나 Dia 같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항원에 대한 항체를 선별검사에서 검출하지 못한다면 이러한 수혈 전략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용량효과를 보이는 비예기항체가 역가가 낮으면, 환자가 항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선별용 혈구와 수혈될 혈액이 해당 항원에 대해 이종접합체인 경우 검사가 음성으로 나올 수 있다. 선별용 혈구가 하나 더 추가되면 임상적으로 중요한 Rh, MNS, Duffy, Kidd 항원에 대해 동종접합체 혈구가 확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10], 이는 Dia 또는 Mia 뿐만 아니라 기존에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비예기항체 관련해서도 의료비용 측면에서 추가적인 경제적 이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Dia 또는 Mia 양성 혈구를 비예기항체 선별 검사에 추가하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여러 이유로 안전한 수혈을 확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선별검사 수가를 만드는 것이 전체적인 의료의 질 향상 및 의료비용의 감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물론 이는 매우 단순화한 추정이며 해외 데이터를 이용한 것이라 국내 상황에 맞게 보다 정교한 경제성 분석이 필요하겠으나, 국내 혈액은행 검사실에서 앞으로 충분히 고려할 가치가 있는 변화의 방향이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보험 수가 체계의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References
  1. Chung Y, Kim JS, Youk HJ, Kim H, Hwang SH, Oh HB, et al. Relative immunogenicity of blood group antigens: first report in a Korean population. Transfus Apher Sci 2023;62:103585.
    Pubmed CrossRef
  2. Han KS, Park KU, Song EY. Transfusion medicine. 4th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14.
    CrossRef
  3. Sung NH, Jeon TY, Lee EY, Chung JS, Cho GJ, Kim HH. Prevalence and specificity of unexpected antibody using antibody screening test including Dia and Mia cells. Korean J Lab Med 2005;25:340-6.
  4. Reid ME, Lomas-Francis C, Olsson ML. The blood group antigen FactsBook. 3rd ed. London: Elsevier; 2012.
    CrossRef
  5. Kim HS, Jo CK, Kim SY, Kim KH, Kim MJ. A case of hemolytic disease of newborn due to anti-Dia: consideration of the inclusion of Dia antigen in antibody screening test. Korean J Blood Transfus 2019;30:241-5.
    CrossRef
  6. Shin KH, Kim HH, Lee HJ, Kim H. Comparison between screening cells including Dia and Mia antigen for unexpected antibody screening. Korean J Blood Transfus 2022;33:46-9.
    CrossRef
  7. Figueroa D. The Diego blood group system: a review. Immunohematology 2013;29:73-81.
    Pubmed CrossRef
  8. Janssen MP, van Tilborgh AJW, de Vooght KMK, Bokhorst AG, Wiersum-Osselton JC. Direct costs of transfusion reactions - an expert judge-ment approach. Vox Sang 2018;113:143-51.
    Pubmed CrossRef
  9.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Korean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Transfusion guideline. 5th ed. Seoul: Korea Network for Organ Sharing; 2022.
  10. Cohn CS, Delaney M, Johnson ST, Katz LM. Technical manual. 20th ed. Bethesda: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2020.

 

April 2023, 34 (1)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Author ORCID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