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Is Leukoreduction Needed for Plasma Products?
혈장 제제에도 백혈구 제거가 필요한가?
Korean J Blood Transfus 2022;33:182−194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17945/kjbt.2022.33.3.182
© 2022 The Korean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Hee-Jeong Youk, M.D.1, Yousun Chung, M.D.2, Hyungsuk Kim, M.D.3, Dae-Hyun Ko, M.D.4
육희정1ㆍ정유선2ㆍ김형석3ㆍ고대현4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1, Chuncheo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2,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3, Seoul,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4, Seoul, Korea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강원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1, 강동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2, 서울대학교병원 진단검사의학과3,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진단검사의학과4
Dae-Hyun Ko, M.D.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88 Olympic-ro, Songpa-gu, Seoul 05505, Korea
Tel: 82-2-3010-4504, Fax: 82-2-478-0884, E-mail: daehyuni1118@amc.seoul.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9781-0928
Received November 27, 2022; Revised December 12, 2022; Accepted December 13,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Leukoreduction is a process in which the white blood cells (WBCs) in cellular products are intentionally reduced to bring down the risk of adverse transfusion reactions, such as febrile non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or human leukocyte antigen alloimmunization. So far, Korea has not considered leukoreduction of plasma products. However there have been recommendations for leukoreduction to improve patient outcomes. The authors have experience in measuring WBCs and WBC fragment counts in plasma products and have shown that the WBC and their fragments could be efficiently removed using leukoreduction filters. Hence, it may be beneficial to begin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using leukoreduction of plasma products.
Keywords : Plasma, White blood cell, Leukoreduction
서론

백혈구 제거는 발열성비용혈수혈반응의 예방, HLA (human leukocyte antigen) 동종면역의 예방, 거대세포바이러스와 같은 백혈구 매개성 수혈 전파성 감염의 예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술식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적혈구 및 혈소판 제제에 대하여 필요시 여과법에 의한 필터를 이용하여 백혈구 제거를 시행하고 있으며 혈장 제제에는 백혈구 제거를 시행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혈장 제제에도 잔여 백혈구가 있다는 보고가 여럿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앞에서 언급한 수혈이상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1]. 심지어 혈장에 viable lymphocyte가 남아있어 이식편대숙주병(graft-versus-host disease)을 일으킬 가능성을 시사하는 보고도 있으며, 특히 Wieding 등[2]의 보고에서는 냉동-해동 과정을 거친 신선동결혈장에 viable lymphocyte가 남아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외국에서는 혈장 제제에도 필터를 이용한 백혈구 제거를 시행하고 있는 사례가 있다. 일례로 프랑스에서는 2001년부터 혈장 제제에도 백혈구 제거를 필수적으로 시행하도록 하고 있다[3]. 미국에서는 전체적인 방침은 없으나 개별 의료 기관 수준에서 자체적으로 혈장 제제의 백혈구 제거 필요성을 고려하여 백혈구 제거를 시행하고 있기도 하다[4].

저자의 기관에서 폐기용 신선동결혈장 10단위를 이용하여 잔여 백혈구 수를 측정해본 결과 온전한 백혈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냉동-해동 과정에서 세포가 파괴된 결과로 추정된다. 그러나 유세포 분석을 통하여 측정해본 결과 파괴된 백혈구 잔여 조각이 혈소판, 적혈구 파편들과 뭉쳐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보였으며, 이는 혈장 내 세포 성분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Fig. 1). 또한 이러한 혈구 덩어리들은 백혈구 제거용 필터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5].

Fig. 1. Remnants of leukocytes in fresh frozen plasma viewed through a light microscope (A: Wright-Giemsa, 400×, B: Wright-Giemsa, 1,000× oil immersion).

국내에서는 아직 혈장 제제의 백혈구 제거의 필요성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런 이유로 현재 국내 보험 수가 체계 하에서는 혈장 제제에 백혈구 제거를 적용할 수 없으며 혈장 전용 백혈구 제거 필터가 의료기기로 허가받은 제품도 없다. 해외의 사례를 보면 혈장 전용 백혈구 제거 필터가 없는 경우 적혈구 제제용 필터를 대안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4] 저자의 실험 결과 다른 필터를 사용하더라도 제거 효율은 유사한 것으로 보였다[5]. 그러나 아직 대규모 실험 데이터는 없어 이러한 대안이 얼마나 임상적으로 효과적인지는 얘기하기 어렵다. 또한 이는 off-label use이므로 몇몇 사례에서 제한적으로는 적용할 수 있을 것이나 본격적으로 모든 대상 환자에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국내에서는 아직 혈액 제제에 대한 universal leukoreduction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으나 이를 위한 노력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 더하여 혈장 제제에도 백혈구 제거가 필요한지에 대한 논의도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논의 결과에 따라 향후 수혈가이드라인 및 보험 수가 체계에도 반영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References
  1. Willis JI, Lown JA, Simpson MC, Erber WN. White cells in fresh-frozen plasma: evaluation of a new white cell-reduction filter. Transfusion 1998;38:645-9.
    Pubmed CrossRef
  2. Wieding JU, Vehmeyer K, Dittman J, Hiddemann W, Lanzer G; Köhler M. Contamination of fresh-frozen plasma with viable white cells and proliferable stem cells. Transfusion 1994;34:185-6.
    Pubmed CrossRef
  3. Masse M. Universal leukoreduction of cellular and plasma components: process control and per-formance of the leukoreduction process. Transfus Clin Biol 2001;8:297-302.
    Pubmed CrossRef
  4. Narvios A, Figueredo G, Tarrand JJ, Huh YO, Lichtiger B. Fresh frozen plasma is not a cellular blood component: transfusion practice in bone marrow and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 recipients. Current Issues in Transfusion Medicine. [last visited on 26 November, 2022]. http://www3.mdanderson.org/~citm/H-04-01.html [Online].
  5. Youk HJ, Ryu HY, Kim JS, Chung Y, Kim H, Hwang SH, et al. A practical approach for leukoreduction in plasma products. Seoul, Korea;2022. p. 108.

 

August 2023, 34 (2)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Articles

Author ORCID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