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Analysis of Results of Donor Blood Screening Tests of Hanmaeum Blood Center (2011~2020)
한마음혈액원의 헌혈자 혈액선별검사 결과 분석(2011∼2020년)
Korean J Blood Transfus 2021;32:181−190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1;  https://doi.org/10.17945/kjbt.2021.32.3.181
© 2021 The Korean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Dong Hee Seo, M.D.1,2, Hyoung Ju Yoon, M.T.2, Jae Chan Ahn, M.T.2, Yoo-Sung Hwang, M.D.2,3
서동희1,2ㆍ윤형주2ㆍ안재찬2ㆍ황유성2,3

LabGenomics Clinical Laboratories1, Seongnam; Quality Control Department, Hanmaeum Blood Center2, Gwacheon; Seegene Medical Foundation3, Seoul, Korea
랩지노믹스 의학연구소1, 한마음혈액원 품질관리팀2, 씨젠의료재단3
Dong Hee Seo, M.D.
Labgenomics Clinical Laboratories, 700 Daewangpangyo-ro, Bundang-gu, Seongnam 13488, Korea
Tel: 82-31-628-0730, Fax: 82-31-628-0701, E-mail: seo2023@nate.com, ORCID: https://orcid.org/0000-0003-0828-3773
Received August 25, 2021; Revised September 24, 2021; Accepted September 27, 2021.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Background: According to blood management law, serology and nucleic acid testing (NAT) are performed for HIV, HBV, HCV, and others as blood screening tests in Korea. The blood screening tests for HIV, HBV, and HCV have substantially improved transfusion safety. The blood screening results of one blood center were investigated because there is little domestic data available on screening tests.
Methods: The blood donation records and screening tests results of a supplying blood center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20 in Korea. Annual first-time donation numbers, sex, and age distribution of donors were investigated during 10 years. The positivity of ALT, HBsAg, anti-HCV, and anti-HIV antibody testing and the positive cases of HIV, HCV, and HBV NAT were inquired.
Results: For 10 years, the blood center has collected 1,896,392 units of blood, and male donation was 1,239,873 units, which was 65.38% of total blood donation. ALT abnormal blood units were 2.06% in 2011, 2.14% in 2013, and 0.81% in 2019. The donor screening test showed HBsAg 0.03%, anti-HCV 0.02%, and anti-HIV 0.06% positivity at 2020. NAT yield cases were three with HIV, two with HCV, and 260 with HBV for 10 years.
Conclusion: The positivity of serology screening tests of the Hanmaeum blood center showed a decreasing trend, and the transfusion of nucleic acid positive but serologically negative blood could be prevented by performing NAT.
Keywords : Blood center, Donor screening test, NAT
서론

국내에서 의료기관에 혈액제제를 공급하고 있는 혈액원으로는 대한적십자사 혈액원, 한마음혈액원 그리고 중앙대학교병원 혈액원이 있다. 이들 혈액원에서는 수혈로 인한 감염성질환의 전파를 막기 위해 헌혈자 문진, 자진배제 제도, 그리고 혈액선별검사 등을 시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혈액관리법에 따라 혈액선별검사로 에이엘티(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검사,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B형간염바이러스(HBV) 그리고 C형간염바이러스(HCV) 등에 대해 혈청학적 및 핵산증폭검사(Nucleic acid testing; NAT)를 시행하고 있다[1]. 특히 HIV, HBV, HCV에 대한 혈액선별검사는 국내외에서 수혈 혈액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2,3].

수혈로 인한 B형 간염 전파를 막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B형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검사(HBsAg)는 국내에서 1975년부터 혈액선별검사가 의무화되었다. HBsAg 검사는 1981년부터 민감도가 높은 혈구응집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되었다. 1990년부터는 효소면역측정법으로 실시되었으며, 2007년부터는 화학발광면역측정법(Electrochemilumine-scent immunoassay; ECLIA)이 시행되어 그 민감도가 개선되었다[4]. 2008년 국내 한 대학병원 혈액원에서 실시한 941건의 HBsAg 검사에서 5건(0.53%)이 HBsAg 양성을 보였다는 보고가 있다[5]. 2012년 6월부터는 HBV NAT도 국내 모든 혈액원에 도입되어, 현재 개별 헌혈혈액에 대해 시행되고 있다[4]. 수혈로 인한 C형간염 전파를 막기 위한 anti-HCV검사는 미국에서는 혈액선별검사로 1990년부터 시작되었는데 국내에서는 1년 늦은 1991년부터 효소면역측정법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2005년에 HCV와 HIV에 대한 NAT가 국내에 도입되었으며, 처음에는 혼합검체를 이용한 NAT 검사를 시행하다가, 2012년 6월에는 HBV NAT와 더불어 헌혈자 개별검체에 대한 검사법으로 변경되었다[6]. 이러한 혈액선별검사의 양성률 파악은 혈액의 안전성을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다[7]. 국내 헌혈의 93%를 차지하고 있는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서는 매년 혈액사업 통계연보를 발간하여 혈액선별검사의 양성률을 발표하고 있고[8], 의료기관 혈액원에서의 헌혈자 혈액선별검사 결과 자료도 발표되고 있지만[5,9], 한마음혈액원의 혈액선별결과는 그 동안 발표된 자료가 없어서, 본 조사를 시행하게 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국내 한 공급혈액원의 헌혈 실적과 혈액선별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과거 10년 동안의 각 연도별 초회 헌혈자수, 성별 헌혈자수 그리고 연령별 헌혈자수를 조사하였다. 초회 헌혈자는 해당연도에 헌혈지원자의 생애에서 처음으로 헌혈한 헌혈자로 정의하였으며, 이후에 헌혈경력이 있으면 다회 헌혈자로 분류하였다.

혈액선별검사인 ALT 검사의 부적격률, HBsAg, anti-HCV 항체, anti-HIV 항체 검사 양성률과 HIV, HCV 그리고 HBV 핵산증폭검사의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검사 시약의 변경이 많았던 매독검사 등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ALT검사는 올림푸스사의 AU640장비(Olympus, Mishima, Japan)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하다가, 2017년 6월부터는 로슈(Roche)사에서 제작한 Cobas8000 c702장비(Roche Diagnostics,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전용시약으로 검사하였다. HBsAg검사는 로슈 면역검사장비를 사용하였으며, Elecsys e411, e170, Cobas8000 e602장비(Roche Diagnostics, Tokyo, Japan)로 HBsAgII 시약을 사용하여 ECLIA법으로 검사하였다. Anti-HCV, Anti-HIV검사는 지멘스사에서 제작한 Quadriga Befree system (Siemens, Marburg, Germany)으로 Genedia HCV Ab ELISA 3.0, Genedia HIV 1/2 ELISA 3.0 plus시약(Greencross, Yongin, Korea)을 각각 사용하여 효소면역측정방법의 원리로 검사를 진행하였다. HIV, HCV 그리고 HBV에 대한 NAT검사는 2011년부터 헌혈자 개별검체에 대해 Grifols사의 Tigris장비(Grifols, San Diego, USA)를 사용하다가, 2017년부터는 로슈사의 Cobas6800 장비(Roche Diagnostics, Rotkreuz, Switzerland)로 변경하여 개별검체로 검사 중이다. 통계 분석은 Minitab 20.4.0.0을 사용하여 χ2 검증을 하였으며, P value가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1. 헌혈실적

한마음혈액원의 헌혈실적은 2011년 162,562건에서 해마다 증가하여 2016년에는 212,056건의 최대헌혈건수를 보인 후 감소하여, 2020년의 헌혈건수는 174,273건이었다(Table 1). 혈액원의 10년간 총 헌혈건수는 1,896,392건이었고, 남성 헌혈건수가 1,239,873건으로 전체의 65.38%를 차지하고 있었다. 2020년 남성 헌혈건수는 121,953건으로 69.98%를 차지하고 있었고, 여성 헌혈건수는 30.02%를 차지하고 있었다. 2020년도에 남성 초회 헌혈자는 5,875명으로 남성 헌혈의 4.82%를 차지했고, 여성 초회 헌혈자는 6,362명으로 여성 헌혈의 12.16%였다. 여성 초회 헌혈자가 2011년, 2013년, 2014년, 2015년, 그리고 2020년에 남성 초회 헌혈자보다 많았다(Table 1).

Blood donation numbers by sex and donation times

Year Total Male Female
Subtotal FD RD Subtotal FD RD
2011 162,562 103,771 13,159 90,612 58,791 13,571 45,220
2012 174,899 111,609 13,920 97,689 63,290 13,341 49,949
2013 197,999 121,189 13,965 107,224 76,810 15,718 61,092
2014 199,736 124,274 13,036 111,238 75,462 13,992 61,470
2015 202,122 130,119 11,644 118,475 72,003 11,732 60,271
2016 212,056 135,094 12,535 122,559 76,962 12,379 64,583
2017 206,247 138,347 10,827 127,520 67,900 10,006 57,894
2018 194,848 129,893 9,188 120,705 64,955 9,090 55,865
2019 171,650 123,624 7,545 116,079 48,026 5,828 42,198
2020 174,273 121,953 5,875 116,078 52,320 6,362 45,958
Total 1,896,392 1,239,873 111,694 1,128,179 656,519 112,019 544,500

Abbreviations: FD, first-time donation; RD, repeat donation.



헌혈자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20년을 제외하고는 매년 16세 이상에서 29세까지가 전체 헌혈인구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그 비율이 2011년 80.6%, 2012년 78.3%, 2013년 78.6%, 2014년 78.0%, 2015년 76.3%, 2016년 73.5%, 2017년 70.2%, 2018년 65.8%, 2019년 59.7%를 차지하고 있었다. 2020년도에는 16세에서 29세까지의 헌혈자가 49.0%로 감소하고, 40대와 50대의 헌혈인구 비율이 28.8%로 증가함을 보였다(Fig. 1, Table 2). 2020년도에는 16∼19세의 청소년 연령의 초회 헌혈자가 6,313명으로 그 이전 연도보다 급격히 감소하였고, 40대와 50대의 초회 헌혈자는 각각 1,364명, 1,108명으로 천명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2020년도 60세 이상의 헌혈은 초회 헌혈이 158건, 다회 헌혈이 1,745건을 보였고, 2020년도 전체 헌혈의 1.1%를 차지하고 있었다(Table 2).

Annual blood don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age groups and donation times

Year Age
16∼19 yr 20∼29 yr 30∼39 yr 40∼49 yr 50∼59 yr 60 yr ≤
FD RD FD RD FD RD FD RD FD RD FD RD
2011 20,001 43,442 4,646 62,919 859 20,404 887 6,889 318 1,965 19 213
2012 20,700 47,156 4,553 64,622 781 23,442 829 9,562 371 2,573 27 283
2013 21,816 53,026 5,510 75,274 906 25,947 984 10,754 441 3,000 26 315
2014 20,288 54,485 4,690 76,364 838 26,265 821 11,694 358 3,492 33 408
2015 17,329 53,585 4,272 79,114 657 27,441 759 14,045 317 3,957 42 604
2016 18,010 53,861 4,356 79,665 862 30,845 1,087 16,939 523 5,063 76 769
2017 15,236 48,413 3,553 77,529 666 32,419 854 19,794 459 6,262 65 997
2018 13,445 43,874 2,806 68,161 705 33,225 768 22,715 496 7,485 58 1,110
2019 9,522 33,548 2,029 57,453 642 32,712 674 24,850 436 8,471 70 1,243
2020 6,313 23,625 2,353 53,162 941 35,739 1,364 33,852 1,108 13,913 158 1,745

Abbreviations: FD, first-time donation; RD, repeat donation.



Fig. 1. Annual blood donation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age groups.

2. 혈액선별검사 부적격

ALT 부적격 혈액의 비율은 2011년 2.06%, 2013년 2.14%, 그리고 2019년 0.81%를 보였다. 2016년도에 2.45%로 가장 높은 부적격률을 보였다. 모든 연도에서 여성(0.39∼0.99%)보다 남성(0.97∼3.30%)에서 ALT 부적격률이 높았다(Table 3). 2014년부터는 전체적으로 초회 헌혈자에서 다회 헌혈자보다 ALT 부적격 비율이 높았다. 2016년 헌혈에서 남성 초회 헌혈자는 3.95%가, 남성 다회 헌혈자는 3.24%가 ALT 부적격을 보였다. ALT의 부적격 기준이 101 IU/L이상으로 변경된 2019년과 2020년에는 ALT 부적격률이 각각 0.81%, 0.89%로 감소하여 1.0% 미만의 부적격률을 보였다(Table 3).

Annual ALT abnormal blood donation cases and percentage

Year Total Male Female
Subtotal FD RD Subtotal FD RD
2011 3,354 (2.06) 2,927 (2.82) 290 (2.20) 2,637 (2.91) 427 (0.73) 97 (0.71) 330 (0.73)
2012 3,635 (2.08) 3,169 (2.84) 340 (2.44) 2,829 (2.90) 466 (0.74) 87 (0.65) 379 (0.76)
2013 4,244 (2.14) 3,610 (2.98) 379 (2.71) 3,231 (3.01) 634 (0.83) 137 (0.87) 497 (0.81)
2014 4,158 (2.08) 3,557 (2.86) 384 (2.95) 3,173 (2.85) 601 (0.80) 119 (0.85) 482 (0.78)
2015 4,435 (2.19) 3,849 (2.96) 404 (3.47) 3,445 (2.91) 586 (0.81) 100 (0.85) 486 (0.81)
2016 5,203 (2.45) 4,460 (3.30) 495 (3.95) 3,965 (3.24) 743 (0.97) 126 (1.01) 617 (0.96)
2017 4,755 (2.31) 4,082 (2.95) 391 (3.61) 3,691 (2.89) 673 (0.99) 97 (0.97) 576 (0.99)
2018* 4,082 (2.09) 3,467 (2.67) 312 (3.40) 3,155 (2.61) 615 (0.95) 87 (0.96) 528 (0.95)
2019 1,396 (0.81) 1,203 (0.97) 99 (1.31) 1,104 (0.95) 193 (0.40) 19 (0.33) 174 (0.41)
2020 1,546 (0.89) 1,340 (1.10) 122 (2.07) 1,218 (1.05) 206 (0.39) 33 (0.52) 173 (0.38)

*ALT cut-off value was changed to 101 IU/L from 65 IU/L since November, 2018.

Abbreviations: FD, first-time donation; RD, repeat donation.



한마음혈액원 헌혈자에서 HBsAg 양성률은 2012년에 0.12%로 가장 높았고, 2020년 0.03%로 가장 낮았다. 10년 동안 남성 헌혈자의 HBsAg 양성률은 0.07% (918×100/1,239,873), 여성 헌혈자의 HBsAg 양성률은 0.06% (415×100/656,519)를 보였다. Anti- HCV 항체 양성률은 지난 10년 동안 0.23%에서 0.01%의 분포를 보였고, 2017년 이후에는 0.03% 이하의 낮은 양성률을 보였다. 10년 동안 남성 헌혈 중 anti-HCV 항체 양성은 1,077건으로 0.09%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고, 여성 헌혈 중 anti-HCV 항체 양성은 687건으로 0.10%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다. Anti-HIV 항체 양성률은 2012년 0.19%로 가장 높았고, 2020년에 0.06%로 가장 낮았다(Table 4). 10년 동안 남성 헌혈 중 anti-HIV 항체 양성은 1,004건으로 0.08%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고, 여성 헌혈 중 anti-HIV 항체 양성은 867건으로 0.13%의 항체 양성률을 보였다. 헌혈 1,000건당 바이러스 표지자의 양성률을 보면 HBsAg은 2012년 1.20, 2016년 0.65, 2019년 0.47, 그리고 2020년 0.34를 보였고, anti-HCV는 2011년 2.35, 2014년 1.24, 그리고 2020년 0.21, anti-HIV는 2011년 1.21, 2015년 0.77, 2020년 0.61을 보여, 전체적으로 2000년대 초기보다 최근에 양성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Fig. 2).

Annual HBsAg, anti-HCV, and anti-HIV positive cases and percentage

Year HBsAg Anti-HCV antibody Anti-HIV antibody
Male Female Total Male Female Total Male Female Total
2011 91 65 156 (0.10)* 223 159 382 (0.23) 99 98 197 (0.12)
2012 151 59 210 (0.12) 165 123 288 (0.16) 166 167 333 (0.19)
2013 129 63 192 (0.10) 133 97 230 (0.12) 132 119 251 (0.13)
2014 60 19 79 (0.04) 159 88 247 (0.12) 82 74 156 (0.08)
2015 98 39 137 (0.07) 196 100 296 (0.15) 75 81 156 (0.08)
2016 94 44 138 (0.07) 100 59 159 (0.07) 136 109 245 (0.12)
2017 102 50 152 (0.07) 40 21 61 (0.03) 98 62 160 (0.08)
2018 92 36 128 (0.07) 17 10 27 (0.01) 75 64 139 (0.07)
2019 61 20 81 (0.05) 24 14 38 (0.02) 76 51 127 (0.07)
2020 40 20 60 (0.03) 20 16 36 (0.02) 65 42 107 (0.06)

*Percentage was calculated by annual donation numbers.



Fig. 2. Annual HBsAg, anti-HCV, and anti-HIV positivity per 1,000 blood donations. All viral markers are showing decreasing trends.

16세에서 19세의 헌혈자의 HBsAg 양성률은 초회 헌혈자는 평균 0.13%, 다회 헌혈자는 평균 0.05%였다. 동일 그룹의 anti-HCV항체 양성률은 초회 헌혈자가 평균 0.16%, 다회 헌혈자는 평균 0.10%였고, 다회 헌혈자의 경우 2016년 이후에 0.1% 미만의 양성률을 보였다(Table 5). 20세에서 29세의 헌혈자의 HBsAg 양성률은 초회 헌혈자는 평균 0.13%, 다회 헌혈자는 평균 0.09%였다. 동일 그룹의 anti-HCV항체 양성률은 초회 헌혈자가 평균 0.13%, 다회 헌혈자는 평균 0.09%였다. 30세에서 39세의 헌혈자의 HBsAg 양성률은 초회 헌혈자는 평균 0.17%, 다회 헌혈자는 평균 0.12%였다. 동일 그룹의 anti-HCV항체 양성률은 초회 헌혈자가 평균 0.12%, 다회 헌혈자는 평균 0.06%였다. 다회 헌혈자보다 초회 헌혈자에서 HBsAg과 anti-HCV 항체 양성률이 모두 높게 나왔다(Table 5). 20∼29세 연령군의 다회 헌혈자에서 헌혈 10,000건당 HBsAg 양성률은 평균 9.0이었고, 2012년 20.0, 2016년 8.0, 2020년 5.0으로 전체적으로 감소하고 있었다. 헌혈 10,000건당 anti-HCV 항체 양성률이 2011년 22.0, 2016년 6.0, 2019년 2.0, 그리고 2020년 1.0으로 최근에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Table 5).

Annual HBsAg and anti-HCV positive percentage according to the age groups and donation times

Year 16∼19 yr 20∼29 yr 30∼39 yr
HBsAg anti-HCV HBsAg anti-HCV HBsAg anti-HCV
FD RD FD RD FD RD FD RD FD RD FD RD
2011 0.16 0.06 0.39 0.24 0.26 0.11 0.32 0.22 0.35 0.01 0.47 0.14
2012 0.09 0.07 0.27 0.19 0.18 0.20 0.24 0.17 0.26 0.06 0.13 0.07
2013 0.11 0.05 0.11 0.15 0.15 0.15 0.11 0.11 0.11 0.07 0.22 0.08
2014 0.03 0.02 0.23 0.12 0.11 0.06 0.15 0.11 0.12 0.03 0.12 0.08
2015 0.16 0.06 0.27 0.14 0.02 0.07 0.23 0.13 0.00 0.05 0.00 0.11
2016 0.14 0.05 0.17 0.09 0.14 0.08 0.00 0.06 0.12 0.03 0.23 0.03
2017 0.14 0.06 0.07 0.02 0.17 0.08 0.03 0.02 0.45 0.07 0.00 0.05
2018 0.19 0.05 0.01 0.02 0.18 0.07 0.00 0.01 0.14 0.08 0.00 0.01
2019 0.13 0.05 0.03 0.01 0.00 0.05 0.15 0.02 0.00 0.03 0.00 0.02
2020 0.11 0.03 0.06 0.03 0.13 0.05 0.08 0.01 0.11 0.04 0.00 0.02
Average 0.13 0.05 0.16 0.10 0.13 0.09 0.13 0.09 0.17 0.05 0.12 0.06

Abbreviations: FD, first-time donation; RD, repeat donation.



2011년부터 2020년까지 HIV NAT 양성 건수는 총 58건이었고, 초회 헌혈에서 12건(20.7%), 다회 헌혈에서 46건(79.3%)이 양성이었다. 지난 10년 동안 HCV NAT는 총 43건이 양성이었고, 초회 헌혈에서 28건(65.1%), 다회 헌혈에서 15건(34.9%)이 양성이었다. HBV NAT는 총 822건이 양성이었고, 초회 헌혈에서 540건(65.7%), 다회 헌혈에서 282건(34.3%)이 양성이었다(Table 6). HCV와 HBV NAT는 초회 헌혈에서 양성이 많았다. 총 헌혈건수 1,896,392에 대한 100,000건당 NAT 양성률은 HIV NAT 3.06, HCV NAT 2.28, 그리고 HBV NAT가 43.3을 보였다. 2020년도에 HIV NAT는 2건이 양성, HCV NAT는 4건이 양성, HBV NAT는 51건이 양성이었다. 지난 10년 동안 혈청학적 표지자는 음성이고 핵산증폭검사에서만 양성 결과를 보인 NAT yield 건은 HIV가 3건, HCV가 2건, 그리고 HBV가 260건이었다. 2015년 이후에 HIV와 HCV NAT yield 건은 없었다(Table 6).

Annual NAT positive cases and NAT yield cases

Year HIV HCV HBV NAT yield
FD RD FD RD FD RD HIV HCV HBV
2011 1 4 5 1 60 12 0 0 16
2012 1 5 2 1 95 34 2 0 34
2013 2 4 5 3 77 32 0 1 39
2014 2 8 3 4 60 27 1 1 29
2015 3 5 1 1 48 20 0 0 20
2016 2 6 6 1 68 27 0 0 33
2017 0 7 3 1 49 25 0 0 30
2018 0 4 1 1 30 17 0 0 18
2019 0 2 0 0 24 19 0 0 16
2020 1 1 2 2 29 22 0 0 25
Total 12 46 28 15 540 282 3 2 260

Abbreviations: FD, first-time donation; RD, repeat donation.


고찰

한마음혈액원은 2002년 5월에 대한산업보건협회 부설로 개원하여 혈액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에 혈액제제를 공급하고 있다. 한마음혈액원의 2020년 헌혈실적은 174,273건으로 국내 전체 헌혈실적인 2,611,401건의 6.7%를 차지하고 있었다. 2011년도에는 총 헌혈실적 2,616,575건의 6.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2016년도에는 국내 총 헌혈실적 2,866,330건의 7.4%를 차지하기도 했다[8]. 2020년 한마음혈액원의 헌혈실적 중 남성 헌혈건수는 69.98%, 여성 헌혈건수는 30.02%를 보였다.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은 2020년도에 남성 헌혈이 73.6%, 여성 헌혈이 26.4%를 보여, 한마음혈액원의 여성 헌혈 비율이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P value <0.01) [9]. 이는 한마음혈액원이 단체헌혈보다 헌혈카페를 통한 개인헌혈의 비중이 높고, 여성 헌혈에 대한 홍보를 지속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20대의 다회 헌혈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50세 이상의 연령군에서 다회 헌혈이 증가한 것은 혈액관리업무에서 고무적인 일로 여겨진다(Table 2).

ALT 검사는 국내 헌혈자에서 혈액선별검사 양성으로 인한 혈액 폐기의 가장 큰 원인이었다[10]. 2018년 11월 ALT 부적격 기준의 변경-65 IU/L 이상에서 101 IU/L 이상-으로, 한마음혈액원의 2019년과 2020년의 ALT 검사 부적격률이 기존의 2%대에서 0.8%대로 감소하였다.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의 ALT 검사 부적격률은 2019년 0.7%, 2020년 0.8%를 보여 한마음혈액원보다는 검사 부적격률이 약간 낮았다. 기준 변경전인 2017년과 2018년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의 ALT 검사 부적격률은 각각 1.9%와 1.8%로 변경전보다 2배 이상 높았지만 한마음혈액원의 부적격률 2.13%, 2.09% 보다는 낮았다(Table 3) [8]. ALT 부적격 기준의 변경으로, ALT 검사 부적격으로 인한 혈액 폐기는 대폭 감소하였지만, 다른 선별검사보다는 부적격률이 아직 높았다. 헌혈혈액에서 바이러스 표지자 양성률은 최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2020년도 한마음혈액원의 HBsAg 검사 양성률은 0.03%, anti-HCV는 0.02% 그리고 anti- HIV는 0.06%의 검사 양성률을 보였다. 대한적십자사는 2020년도에 HBsAg 검사 양성률 0.02%, anti-HCV는 0.10% 의 검사 양성률을 보여[8], HBsAg 검사 양성률은 한마음혈액원보다 0.01% 낮았고, anti-HCV 검사 양성률은 한마음혈액원보다 높았다(Table 7). 두 공급혈액원 간의 헌혈자 선별검사 양성률의 차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2011년에서 2012년 사이의 미국 내 헌혈 1,480만 건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헌혈 10,000건당 양성률이 HBV 0.757, HCV 2.007, 그리고 HIV 0.282로 조사되었다[11]. 2020년도의 한마음혈액원의 헌혈 10,000명당 양성률은 HBV 3.443, HCV 2.066, 그리고 HIV 6.140으로 조사되어, 미국의 헌혈과 비교해 볼 때 HBV와 HIV의 양성률이 높았고 HCV은 비슷한 양성률을 보였다. HBV인 경우는 우리나라의 B형간염 유병률이 미국보다 높기 때문에, 혈액선별검사에서도 미국보다 양성률이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Comparison of screening tests positivity (%) of two blood centers in 2020

ALT HBsAg Anti-HCV
Hanmaeum BC 0.89 0.034 0.021
Korean Red Cross BC 0.85 0.026 0.104
P value 0.08 0.04 <0.01

Abbreviations: BC, blood center.



HIV NAT 양성건은 지난 10년간 초회 16건, 다회 46건으로 초회보다 다회 헌혈자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HCV와 HBV NAT 양성은 초회 헌혈자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HCV와 HBV NAT 양성이 초회 헌혈에서 높은 것은 헌혈자가 감염 사실을 모르고 헌혈을 지원하는 것이 그 원인이 아닐까 추정된다. 그리고 HIV NAT가 다회 헌혈자에서 양성이 많은 것은 초회 헌혈 후에 헌혈자가 HIV에 감염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다회 헌혈자에서 2019년 HIV NAT 양성이 2건, 2020년 HIV NAT 양성이 1건으로 나타나서(Table 6), 헌혈자 선별 과정에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이 있는 헌혈자 배제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011년부터 10년 동안 한마음혈액원의 NAT yield 건은 HIV가 3건, HCV가 2건, 그리고 HBV가 260건으로 NAT 검사의 시행으로 해당 혈액의 수혈로 인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었다. 헌혈자에 대한 HBV NAT는 한마음혈액원에 2011년 5월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도입되었고, 대한적십자사 혈액원에는 2012년 6월에 도입되었다. 이에 한마음혈액원이 2011년도에 HBV NAT yield 16건의 혈액제제 수혈을 예방할 수 있었다(Table 6). 2015년 이후에 HIV와 HCV NAT yield 건은 없었는데, 그 이유에 대해서는 헌혈자 문진강화 등을 생각해 볼 수 있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한마음혈액원의 혈청학적 검사 지표의 양성률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고, NAT 검사의 시행으로 혈청학적으로 바이러스 검사 음성이지만 핵산 양성인 혈액의 수혈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요약

배경: 국내에서는 혈액관리법에 따라 혈액선별검사로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HIV), B형간염바이러스(HBV), C형간염바이러스(HCV) 등에 대해 혈청학적 및 핵산증폭검사(NAT)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HIV, HBV, HCV에 대한 혈액선별검사는 수혈 혈액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국내 헌혈혈액 선별검사 결과에 대한 자료가 많지 않아, 공급 혈액원 한 곳의 헌혈혈액 선별검사 양성률을 조사해 보았다.

방법: 2011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내 한 공급혈액원의 헌혈 실적과 혈액선별검사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과거 10년 동안의 각 연도별 초회 헌혈자수, 성별 헌혈자수 그리고 연령별 헌혈자수를 조사하였다. ALT 검사, HBsAg, anti-HCV 항체, anti-HIV 항체 검사 양성률과 HIV, HCV 그리고 HBV 핵산증폭검사의 양성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혈액원의 10년간 총 헌혈건수는 1,896,392 건이었고, 남성 헌혈건수가 1,239,873 건으로 전체의 65.38%를 차지하고 있었다. ALT 부적격 혈액의 비율은 2011년 2.06%, 2013년 2.14%, 그리고 2019년 0.81%를 보였다. 2020년도 한마음혈액원의 HBsAg 검사 양성률 0.03%, anti-HCV는 0.02% 그리고 anti-HIV는 0.06%의 검사 양성률을 보였다. 10년 동안 NAT yield 건은 HIV가 3건, HCV가 2건, 그리고 HBV가 260건이었다.

결론: 한마음혈액원의 혈청학적 선별검사의 양성률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NAT 검사는 혈청학적으로 바이러스 검사 음성이지만 핵산 양성인 혈액의 수혈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References
  1. Shin DW, Kim HS, Kim BR, Kim TY, Hong YJ, Kim TS, et al. Strategies to prevent transfusion-transmitted infection in blood centers. Korean J Blood Transfus 2017;28:211-24.
    CrossRef
  2. Kang JW, Shin SM, Seo DH, Kang JW, Ko DH, Song CE, et al. Estimation of the residual risk of transfusion-transmissible infectious agents in Korea. Korean J Blood Transfus 2019;30:156-62.
    CrossRef
  3. Perkins HA, Busch MP. Transfusion-associated infections: 50 years of relentless challenges and remarkable progress. Transfusion 2010;50:2080-99.
    Pubmed CrossRef
  4. Han KS, Park KU, Song EY. Transfusion medicine. 4th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ing Company, 2014: 17-21
  5. Yoon SY, Kim MJ, Park QE, Kim HY, Kim HS. Results of serologic screening tests from blood donors at one university hospital-based blood bank during 2006-2008. Korean J Blood Transfus 2009;20:177-83.
  6. Shin SM, Kang JW, Kang JW, Seo YI, Park JR, Lee DD, et al. Analysis of HCV RNA genotypes and quantitative values of Korean HCV NAT reactive blood donors. Korean J Blood Transfus 2019;30:205-11.
    CrossRef
  7. Godbey EA, Thibodeaux SR. Ensuring safety of the blood supply in the United States: donor screening, testing, emerging pathogens, and pathogen inactivation. Semin Hematol 2019;56:229-35.
    Pubmed CrossRef
  8. Korean Red Cross Blood Services. 2020 Blood services statistics. Wonju: Korean Red Cross Blood Services; 2021: 6-9
  9. Shin KH, Lee SM, Lee EY, Kim HH. Analysis of blood donation in a tertiary care hospital. Korean J Blood Transfus 2014;25:53-9.
  10. Seo DH, Whang DH. The usefulness of the alanine aminotransferase test for blood donors. Korean J Blood Transfus 2009;20:159-66.
  11. Dodd RY, Notari EP, Nelson D, Foster GA, Krysztof DE, Kaidarova Z, et al. Development of a multisystem surveillance database for transfusion-transmitted infections among blood donors in the United States. Transfusion 2016;56:2781-9.
    Pubmed CrossRef

 

April 2023, 34 (1)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Author ORCID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