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Trends in Clinical Application of Platelet-Derived Bioproducts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의 임상적 활용 동향
Korean J Blood Transfus 2024;35:196−199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17945/kjbt.2024.35.3.196
© 2024 The Korean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Kyeong-Hee Kim, M.D.1,2, Ri-Young Goh, Ph.D.2, Yonggon Cho, M.D.3, Duck Cho, M.D.4
김경희1,2ㆍ고리영2ㆍ조용곤3ㆍ조 덕4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Dong-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1, Busan; Dong-A University Hospital Public Cord Blood Bank2, Busan;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3, Jeonju;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nd Genetic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4, Seoul, Korea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1, 동아대학교병원 제대혈은행2,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교실3,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교실4
Kyeong-Hee Kim, M.D.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6 Daeshingongwon-ro, Seo-gu, Busan 49202, Korea
Tel: 82-51-240-2850, Fax: 82-51-255-9366, E-mail: progreen@dau.ac.kr, ORCID: https://orcid.org/0000-0002-6694-4296
Received August 5, 2024; Revised September 24, 2024; Accepted September 29, 2024.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Platelets contain various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Platelet-derived bioproducts, such as platelet-rich plasma (PRP), platelet-rich fibrin (PRF), and platelet lysate (PL),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in clinical practice. PRP and PRF are mainly derived from autologous blood and are used in orthopedics, ophthalmology, skin ulcer treatment, and oral surgery. P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ubstitute for fetal bovine serum in cultures for cell therap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platelet lysate production should be carried out, and transfusion medicine professionals must be involved in the clinical utilization of platelet-derived bioproducts.
Keywords : Platelet-rich plasma, Platelet lysate, Platelet-derived bioproduct
Body

1980년 초에 이미 혈소판과 섬유소(fibrin)의 신생혈관 생성과 콜라겐 합성을 통한 상처의 회복에 대해서 연구된 바가 있다[3]. 혈소판은 다양한 바이오제품으로 임상 적용이 되고 있는데 자가혈액 유래 제품뿐만 아니라 동종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의 연구 및 활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혈소판풍부혈장(platelet rich plasma, PRP), 혈소판풍부피브린(platelet rich fibrin, PRF), 혈소판용해물(platelet lysate, PL)이 대표적인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으로 Table 1에 요약하였다[4].

Clinical application of platelet-derived bioproducts

Platelet-derived bioproducts Clinical application
Platelet-rich plasma Orthopedics, sports medicine, wound healing, ophthalmology
Platelet-rich fibrin Odontology, maxillofacial surgery
Platelet lysate Supplement for cell culture media, wound healing, corneal ulcer


PRP와 PRF는 주로 자가 전혈을 원심분리 후 제조하여 이용하고 있다(Fig. 1). PRP는 손상된 조직에 주사 형태로 주입되고, PRF는 국소 부위에 도포되어 사용된다. 이용되는 임상 영역은 조금 차이가 나는데 PRP는 정형외과, 스포츠 의학, 안과, 피부 궤양에서 연조직의 치유를 빠르게 할 목적으로 활발하게 연구 및 사용되고 있으며 PRF는 주로 구강 수술 및 치주학에서 조직 재생 강화, 염증 감소 및 상처 치유 개선의 목적으로 활용된다[5-7].

Fig. 1. Current scheme of platelet-derived bioproducts.

PRP의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있는데 PRP의 제조, 제조 후 처리(processing), 적용 방법 등의 일치가 없기 때문이다[8,9]. 또한 제제에 포함된 혈소판의 수, 백혈구나 적혈구의 혼입 유무, 분자학적 성분에 대한 일치된 의견이 없다[10].

국내에서 신의료기술로 통과되어 시행되고 있는 사례들을 Table 2에 요약하였다. 상과염에 자가 PRP 주사 기술이 2016년에는 연구 단계 기술로 평가되었으나 2019년에 국내에서 최초로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 형태로써 신의료기술 인정을 받았다. 창상 회복 증진을 위한 PRF나 회전건개건병증 환자에서의 자가 PRP 치료술은 신의료기술로 인정되지 못하고 연구 단계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Cases of the PRP and PRF-based new health technology applied in Korea

Year Application field Subject
2019 Orthopedics Autologous PRP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epicondylitis
2020 Odontology Autologous PRP injection for the treatment of alveolar osteitis (dry socket)
2021 Ophthalmology Autologous PRP eye drops
2021 Odontology Autologous PRF for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2021 Odontology Autologous PRF for wound healing improvement of donor site in soft tissue graft procedure
2022 Odontology Autologous PRF for extraction socket healing improvement after tooth extraction
2022 Obstetrics Intrauterine PRP injection for frozen embryo in patients with refractory thin endometrium
2022 Orthopedics Autologous PRP injection for rotator cuff repair surgery

Abbreviations: PRP, platelet-rich plasma; PRF, platelet-rich fibrin.



혈소판 과립 내 성분들이 유리되도록 일반적으로 냉동과 해동을 반복하여 얻어지는 PL은 성장인자가 풍부하여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환자에게 주입하기 위해 제조되는 세포 치료제는 기존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이종단백질인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인간 유래 물질로 대체하는 것이 중요하다. PL이 FBS를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11-13]. PL 제조의 원천은 헌혈 혈액 유래 혈소판, 유효 기한이 지난 혈소판, 제대혈 유래 혈소판 등 다양하다. ISBT (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에서는 수혈용 이외에도 혈소판을 PL로 제작하여 세포 배양 배지로의 사용에 대한 연구 그룹을 구성하였다[14]. 폐기된 혈소판이 아닌 경우 헌혈자로부터 얻어진 혈소판을 PL로 제작하는 것은 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또한 PL 제조의 표준화가 필요한데 혈소판을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냉동-해동 사이클, 초음파 파쇄(sonication), 응고, pulse electric field법 등 다양하다. 또한 PL의 미생물 검사는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등도 논의가 필요하다[15].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은 표준화 관점에서 극복해 나가야 하는 점들이 많지만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이 풍부한 재료로 미래에는 임상에 적극 도입될 것이다. 국내에서도 폐기되는 제대혈의 혈소판, 유효 기간이 지난 혈소판을 시작으로 PL의 제조에 대한 연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요약

혈소판에는 다양한 성장인자와 사이토카인이 포함되어 혈소판풍부혈장, 혈소판풍부피브린, 혈소판용해물과 같은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이 개발되어 임상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혈소판풍부혈장과 혈소판풍부피브린은 주로 자가혈액 유래로 정형외과, 안과, 피부궤양, 구강외과에서 활용되고 있다. 혈소판용해물은 세포치료제 제작을 위한 배양 시 소태아혈청의 대체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혈소판용해물의 제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수혈의학 전문가들이 혈소판 유래 바이오제품의 임상적 활용에 참여해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Leslie M. Cell biology. Beyond clotting: the powers of platelets. Science 2010;328:562-4.
    Pubmed CrossRef
  2. Garraud O. Platelet therapy and regenerative medicine: a need for clarification and controlled trials, and a desirable intervention for blood establishments. Transfus Apher Sci 2022;61:103463.
    Pubmed CrossRef
  3. Knighton DR, Hunt TK, Thakral KK, Goodson WH 3rd. Role of platelets and fibrin in the healing sequence: an in vivo study of angiogenesis and collagen synthesis. Ann Surg 1982;196:379-88.
    Pubmed KoreaMed CrossRef
  4. Acebes-Huerta A, Arias-Fernández T, Bernardo Á, Muñoz-Turrillas MC, Fernández-Fuertes J, Seghatchian J, et al. Platelet-derived bio-products: classification update, applications, concerns and new perspectives. Transfus Apher Sci 2020;59:102716.
    Pubmed CrossRef
  5. Alves R, Grimalt R. A review of platelet-rich plasma: history, biology, mechanism of action, and classification. Skin Appendage Disord 2018;4:18-24.
    Pubmed KoreaMed CrossRef
  6. Everts P, Onishi K, Jayaram P, Lana JF, Mautner K. Platelet-rich plasma: new performance understandings and therapeutic considerations in 2020. Int J Mol Sci 2020;21:7794.
    Pubmed KoreaMed CrossRef
  7. Alsousou J, Ali A, Willett K, Harrison P. The role of platelet-rich plasma in tissue regeneration. Platelets 2013;24:173-82.
    Pubmed CrossRef
  8. OuYang H, Tang Y, Yang F, Ren X, Yang J, Cao H, et al. Platelet-rich plasma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 a systematic review. Front Endocrinol (Lausanne) 2023;14:1256081.
    Pubmed KoreaMed CrossRef
  9. Xia Y, Zhao J, Xie J, Lv Y, Cao DS. The efficacy of platelet-rich plasma dressing for chronic nonhealing ulcers: a meta-analysis of 15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last Reconstr Surg 2019;144:1463-74.
    Pubmed CrossRef
  10. Harrison P; Subcommittee on Platelet Physiology. The use of platelets in regenerative medicine and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system: guidance from the SSC of the ISTH. J Thromb Haemost 2018;16:1895-900.
    Pubmed CrossRef
  11. Oeller M, Laner-Plamberger S, Krisch L, Rohde E, Strunk D, Schallmoser K. Human platelet lysate for good manufacturing practice-compliant cell production. Int J Mol Sci 2021;22:5178.
    Pubmed KoreaMed CrossRef
  12. Schallmoser K, Bartmann C, Rohde E, Reinisch A, Kashofer K, Stadelmeyer E, et al. Human platelet lysate can replace fetal bovine serum for clinical-scale expansion of functional mesenchymal stromal cells. Transfusion 2007;47:1436-46.
    Pubmed CrossRef
  13. Burnouf T, Strunk D, Koh MB, Schallmoser K. Human platelet lysate: replacing fetal bovine serum as a gold standard for human cell propagation? Biomaterials 2016;76:371-87.
    Pubmed CrossRef
  14. Schallmoser K, Henschler R, Gabriel C, Koh MBC, Burnouf T. Production and quality requirements of human platelet lysate: a position statement from the Working Party on Cellular Therapie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Trends Biotechnol 2020;38:13-23.
    Pubmed CrossRef
  15. Bieback K, Fernandez-Muñoz B, Pati S, Schäfer R. Gaps in the knowledge of human platelet lysate as a cell culture supplement for cell therapy: a joint publication from the AABB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Cell & Gene Therapy. Transfusion 2019;59:3448-60.
    Pubmed CrossRef

 

December 2024, 35 (3)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Author ORCID Inform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