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for




 

Transfusion of RhD-Positive Blood Components to Serologic RhD-Negative Patients-Review of Current Literature: An Opinion
혈청학적 RhD 음성 환자에서 RhD 양성 혈액제제 수혈에 관한 의견
Korean J Blood Transfus 2022;33:178−181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2;  https://doi.org/10.17945/kjbt.2022.33.3.178
© 2022 The Korean Society of Blood Transfusion.

Soo Ho Yu, M.D.*, In Hwa Jeong, M.D.*, Duck Cho, M.D.
유수호*ㆍ정인화*ㆍ조 덕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nd Genetic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검사의학과
Duck Cho, M.D.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and Genetics,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81 Irwon-ro, Gangnam-gu, Seoul 06351, Korea
Tel: 82-2-3410-2403, Fax: 82-2-3410-2719, E-mail: duck.cho@skku.edu, ORCID: https://orcid.org/0000-0001-6861-3282

*Both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Received November 23, 2022; Revised December 5, 2022; Accepted December 5, 2022.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Among RhD variants, it is considered safe to transfuse RhD positive blood to “Asia-type” DEL and weak D type 1, 2, and 3 recipients. However, transfusing RhD-positive blood cells in the “Asia-type” DEL, (serologically typed as RhD-negative), is still a cause for concern among clinicians. Here, the safety of transfusing RhD-positive blood components to “Asia-type” DEL recipients is re-emphasized by reviewing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Keywords : Asia-type DEL, RhD negative, Transfusion
서론

혈청학적 RhD 음성(serologic RhD negative) 한국인의 약 15%∼17%는 실제로는 D 항원이 극 소량 발현되는 DEL형(1227G>A, 이하 아시아형 DEL)이다[1,2]. 이들이 헌혈한 혈액은 RhD 음성으로 분류되어 RhD 음성 환자에게 수혈되어 왔는데, 수혈 후 항-D를 유발한 사례가 수차례 보고되었다[3-5]. 그런데, 흥미롭게도 이들 아시아형 DEL 환자는 RhD 양성 혈액제제를 수혈 받아도 항-D가 발생하지 않고[6,7], 수혈가이드라인(2022, 제5판)에 이러한 수혈의 안전함이 기술되었다. 하지만, 혈청학적 RhD 음성을 보이는 이들 환자에게 RhD 양성 혈액제제의 수혈은 의료진에게 부담과 우려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저자들은 보고된 문헌과 경험을 기반으로 아시아형 DEL은 RhD 양성 혈액제제의 수혈이 안전하다는 의견을 다시 한번 강조하고자 한다.

Rh 혈액형 군에 속한 항원은 50여 개인데, 이중 D와 C, c, E, e 항원들은 임상적 의의가 크다. 이중 특히 D 항원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RhD 음성자가 D항원에 노출시 항-D 생성율이 다른 항원들에 비해 높고, 생성된 항체가 태아신생아용혈성질환(hemolytic disease of fetus/newborn)과 용혈수혈반응(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을 유발하기 때문이다[8]. 비록 RhD 음성 환자의 경우 D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항체 생성률이 정상인보다는 낮아 질환군에 따라 4%∼26% 정도로 다양하게 보고되었지만, D 항원은 여전히 ABO 혈액형의 항원 다음으로 임상적 의의가 높다[9]. 따라서, 대부분 국가에서 수혈전 검사로 ABO 및 RhD 혈액형 검사를 포함시키고 있다. RhD 혈액형 검사는 RhD 검사, 약-D검사를 기본으로 시행하고, 필요시 흡착 및 해리 검사와 RHD 유전자 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8]. 그런데, 흡착 및 해리 검사는 숙련된 검사자라도 DEL형을 5.1%에서 검출하지 못한 보고가 있어, 가장 확실한 대안은 RHD 유전자 검사로 판단된다[10]. 또한, RHD 유전자 검사는 DEL 형의 세부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국인에서는 RHD 유전자 검사시 대부분 1227 G>A 유형이고, 소수는 1222 T>C를 갖는다[1,11]. 이중 1227G>A 대립유전자를 갖는 아시아형 DEL은 RhD 양성 혈액제제를 수혈 받아도 항-D가 발생한 사례가 없다고 보고되었지만, 1222 T>C 유형은 근거가 부족하므로 이들의 구분이 중요하다. RhD 혈액형을 정확히 검사하는 이유는 헌혈자와 환자에게 정확한 RhD 혈액형 판정을 실시하여, 궁극적으로 항-D 발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불가피하게 이런 원칙을 벗어난 수혈도 있다. RhD 음성 혈액의 재고 부족이나 응급상황에서 불가피하게 RhD 양성 혈액제제를 수혈하기도 한다[12]. 한편, RhD 음성 혈액의 재고를 비축하기 위해 약-D 1,2,3 형과 아시아형 DEL은 응급이나 재고 부족이 아닌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RhD 양성 혈액제제를 우선적으로 수혈하는 것이 권장되기도 한다[7,13].

Table 1에 정리된 것처럼 아시아 형 DEL 환자에게 RhD 양성 수혈 후 항-D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은 Park 등[6]이 처음 증례 보고를 하였다. 그 후 Choi 등[7]이 아시아형 DEL환자에게 계획된 RhD 양성 수혈을 수혈하였고, 항-D는 생성되지 않음을 재확인하였다. 한편, Shao 등[14]은 예방적 Rh 면역글로블린(Rh immunoglobulin, RhIG)을 투여하지 않은 303명의 혈청학적 RhD 음성 산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실제(real) RhD 음성 산모는 24.5% (38/155)에서 항-D가 발견되었으나, DEL형 산모는 아무도 항-D가 발견되지 않았다 (0%, 0/148). 또한, 아시아형 DEL은 항원의 양은 극히 적지만 D항원의 epitope가 완벽하다고 보고하였다[15].

Case reports of RhD-positive blood transfusions to “Asia-type” DEL patients in Korea

Description RHD genotype Transfused RhD-positive blood product Anti-D antibody Reference
66 years old Korean male 1227G>A RBCs (2 units) Negative after transfusion Park et al. [6]
29 years old Korean male 1227G>A RBCs (5 units), SDPs (40 units), PC (12 units), FFP (6 units), Cryo (15 units) Negative after transfusion Choi et al. [7]

Abbreviations: RBCs, red blood cells; SDP, single donor platelets; PC, platelet concentrate; FFP, fresh-frozen plasma; Cryo, cryoprecipitate.



서구에서는 약-D 1,2,3형이 D 변이형의 약 90%를 차지하고, RHD 유전형 검사로 확인된 경우에는 RhD 양성 수혈이 가능할 뿐 아니라 RhIG 예방조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14,16]. 검사 측면에서 약-D 1,2,3형은 RhD 검사와 약-D 검사에서 대부분 검출되기 때문에 쉽게 RhD 변이형으로 인지가 가능하다. 반면, 아시아형 DEL은 RhD 검사와 약-D 검사에서 RhD 음성으로 분류되므로 RHD 유전자 검사를 추가로 실시하지 않으면 인지하지 못한다. 그런데, 한국인 RhD 음성 중 약 50%는 RHD 유전자 검사가 필요하지 않는데, 이는 RhCE 표현형 검사로 선별 가능하다고 보고되었다[11]. 즉, RhCE 표현형 검사를 실시하여, ce 형(즉, C-E-c+e+ 표현형)은 RHD 유전자의 전체 결손과 높은 연관성이 있어 RHD 유전자 검사가 불필요하며, C 혹은 E가 있는 경우 중 특히 C가 있는 경우(예, Cde)는 약 30%∼50%에서 RHD 유전자 검사로 아시아형 DEL로 규명된다.

이러한 검사 전략은 RhCE 표현형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기관에서는 적용하기 어렵지만, 이를 실시하는 기관에서는 활용하면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유전자 검사로 아시아형 DEL로 확인된 경우는 RhD 양성 혈액제제 수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의료기관에서 이러한 수혈 전략을 활용하고자 할 경우 제한점이 있다. 1시간 이내로 RHD 유전자 검사를 할 수 있는 신속한 키트가 현재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혈청학적 RhD 음성이 확인될 경우 미리 검사를 실시하여 대비해야 할 것이다. Choi 등[7]이 보고한 증례처럼 수십 단위의 RhD 음성 혈액이 필요한 환자는 미리 RHD 유전자 검사를 해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우리나라 수혈가이드라인에 근거하면 RhD 음성 혈액제제의 재고가 있는 경우는 RhD 음성 혈액제제를 우선적으로 수혈하고, 재고가 없는 경우나 응급상황에서는 양성 혈액제제 수혈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다[7]. 하지만, RHD 유전자 검사로 확인된 아시아형 DEL 환자는 서양의 약-D 1,2,3형처럼 일반적인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RhD 양성 혈액을 수혈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1. Kim JY, Kim SY, Kim CA, Yon GS, Park SS.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 Korean persons: development of a diagnostic strategy. Transfusion 2005;45:345-52.
    Pubmed CrossRef
  2. Luettringhaus TA, Cho D, Ryang DW, Flegel WA. An easy RHD genotyping strategy for D- East Asian persons applied to Korean blood donors. Transfusion 2006;46:2128-37.
    Pubmed CrossRef
  3. Kim KH, Kim KE, Woo KS, Han JY, Kim JM, Park KU. Primary anti-D immunization by DEL red blood cells. Korean J Lab Med 2009;29:361-5.
    Pubmed CrossRef
  4. Yoon J, Koh YE, Kim HN, Kim J, Jung BK, Lee SA, et al. A case of primary anti-D alloim-munization by RHD (c.1227G>A) DEL red blood cell transfusion. Korean J Blood Transfus 2016;27:169-73.
    CrossRef
  5. Yang HS, Lee MY, Park TS, Cho SY, Lee HJ, Lim G, et al. Primary anti-D alloimmunization induced by "Asian type" RHD (c.1227G>A) DEL red cell transfusion. Ann Lab Med 2015;35:554-6.
    Pubmed KoreaMed CrossRef
  6. Park JY, Cho D, Choi HW, Jeon MJ, Park MS, Song JW, et al. A patient with RhDel (1227G>A) failed to produce detectable anti-D after transfusion of RhD positive red blood cells. Korean J Blood Transfus 2006;17:153-8.
  7. Choi S, Chun S, Seo JY, Yang JH, Cho D. Planned transfusion of D-positive blood com-ponents in an Asia type DEL patient: proposed modification of the Korean National Guidelines for Blood Transfusion. Ann Lab Med 2019;39:102-4.
    Pubmed KoreaMed CrossRef
  8. Fung MK, Grossman BJ, Hillyer CD, Westhoff CM. Technical manual. Bethesda: American Association of Blood Banks; 2014.
  9. Ji Y, Luo G, Fu Y. Incidence of anti-D alloimmu-nization in D-negative individuals receiving D-positive red blood cell transfu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ox Sang 2022;117:633-40.
    Pubmed CrossRef
  10. Kim TY, Hong YJ, Kim MJ, Kim H, Kim TS, Park JS, et al. Recommendations regarding practical DEL typing strategies for serologically D-negative Asian donors. Transfus Med Hemo-ther 2020;47:88-93.
    Pubmed KoreaMed CrossRef
  11. Seo MH, Won EJ, Hong YJ, Chun S, Kwon JR, Choi YS, et al. An effective diagnostic strategy for accurate detection of RhD variants including Asian DEL type in apparently RhD-negative blood donors in Korea. Vox Sang 2016;111:425-30.
    Pubmed CrossRef
  12. Wagner FF, Frohmajer A, Flegel WA. RHD positive haplotypes in D negative Europeans. BMC Genet 2001;2:10.
    Pubmed KoreaMed CrossRef
  13. Daniels G. Variants of RhD--current testing and clinical consequences. Br J Haematol 2013;161:461-70.
    Pubmed CrossRef
  14. Shao CP, Xu H, Xu Q, Sun GD, Li JP, Zhang BW, et al. Antenatal Rh prophylaxis is unne-cessary for "Asia type" DEL women. Transfus Clin Biol 2010;17:260-4.
    Pubmed CrossRef
  15. Shao CP. Transfusion of RhD-positive blood in "Asia type" DEL recipients. N Engl J Med 2010;362:472-3.
    Pubmed CrossRef
  16. Sandler SG, Chen LN, Flegel WA. Serological weak D phenotypes: a review and guidance for interpreting the RhD blood type using the RHD genotype. Br J Haematol 2017;179:10-9.
    Pubmed KoreaMed CrossRef

 

December 2022, 33 (3)
Full Text(PDF) Free

Social Network Service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

Author ORCID Information
Services